2017년 4대보험 계산기 이용법
직장을 다니는 근로자들은 모두 4대보험에 자동적으로 가입을 하게되어 있습니다. 1인 이상의 종업원을 둔 사업장이라면, 당연하게 4대보험이 적용되기에 각각 얼마의 금액이 빠져나가는지 궁금하신 분들이 많이 있으실 것 같습니다. 국민연금보험, 건강보험, 고용보험, 산재보험 등을 올해 2017년 4대보험 계산기를 사용해서 알아보겠습니다.
우선 4대보험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본인의 월 급여액에 따라서 달라지기 때문에 200만원을 예를 들어 계산을 해보겠습니다. 월 급여 200만원 기준 국민연금보험료는 18만원이며, 근로자와 사업장은 각자가 9만원씩 납부하게 됩니다.
건강보험에는 건강보험료와 장기요양보험료 두가지가 있습니다. 건강보험료는 월 급여액에 따라서 달라지지만, 장기요양보험료는 건강보험료 총액수에 따라서 달라집니다. 자세한 정보는 건강보험세율 정보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고용보험은 회사의 근로자수에 따라서 사업주가 납부하는 금액이 달라집니다. 그러나 근로자는 일정세율에 대한 변동이 없다는 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 4대보험 계산기 홈페이지를 통하여 자세한 정보를 알아보시기 바랍니다.
산재보험은 계산하는 곳은 근로복지공단에서 할 수 있습니다.
4대보험을 직접 계산해 보시고 본인의 월 급여액에서 세금으로 지출되는 비용이 맞는지 확인 해보시기 바랍니다.